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보화 시공을 활용한 차세대 건설 시스템

전문가 제언
□ 우리 정부도 건설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와 공기 단축을 목적으로 건설 CALS/EC를 공공 건설 공사에 적용시키기 위해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표준 지침을 만들어 보급 확산시키고 있다.

□ 이는 설계, 시공, 관리의 전 부문에서 표준화와 기술을 포함한 정보의 공유화를 기하여 건설 정보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2003년부터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이 글에서 일본은 그 동안 CALS에 의해 납품되던 2차원 데이터 외에 누락된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규준틀 설치와 완성형 관리에서 크게 업무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우리나라도 1970년대 이후 심층 계측 관리가 광양제철소 건설 시 도입된 이래, 최근 주요 건설 현장에는 자동 계측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어서 지반 굴착이나 토공 등에서 효과를 발휘하고 있어서 정보화 시공의 접목이 시작되고 있다.

□ 이러한 자동 계측이 지리 정보(GIS)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함께 연계 확산된다면, 오차도 줄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현장 확인 관리가 가능하여 건설 CITIS 시스템도 크게 활성화됨으로써 신속한 업무 처리도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리라 본다.

□ 이미, 국내 대형 건설사는 과거의 시공 경험과 노하우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지식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건설 기업 관리 시스템을 운용하여, 시공 예측과 저비용 관리를 하고 있어 국제 경쟁력 측면에서 크게 기대되고 있다.
저자
K. KOZI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654)
잡지명
건설의 기계화(G40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26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