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더를 사용한 정보화 시공
- 전문가 제언
-
□ 이 때까지 도로공사현장의 시공 중장비로서는, 불도저, 모터 그레이더, 로라 및 아스팔트 포장기 등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들 중장비의 조작은 전적으로 운전원에 의존되어 왔다. 따라서 운전원의 숙련도와 경험에 따라 시공속도와 정밀도 및 공사비용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였다.
□ 이 문헌은,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건설 분야에 있어서도 IT기술을 건설기계 시공에 응용해서, 정보화 시공 작업을 추진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즉 일본의 Sikasima 도로건설회사가 Hok Kai Do관통 자동차도로 건설공사에, 3차원 기계제어 시스템(3 Dimension-Machine Control System; 3D-MC) 장치를 탑재한 Motor Grader를 적용한 사례이다.
□ 이 3D-MC는 설계, 측량 및 시공의 각각 다른 관리데이터를 일원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데이터를 가지고 직접 시공기계를 제어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시공기준으로서의 말뚝 설치도 불필요하게 되고, 시공시의 운전원의 부담도 대폭 경감되며, 측량작업을 위한 검측원도 불필요 하게 될 뿐만 안이라, 3D-MC로 공사 완성형의 측량을 하게 됨으로써, 설계 데이터와의 차이도 자동 계산이 되어, 데이터의 일원화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점에 더하여, 무엇보다도 마무리 공사의 정밀도가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중장비 시공사례가, 우리나라에서도 도로공사 현장작업에 참고가 되고 적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 저자
- T. YAMAG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654)
- 잡지명
- 건설의 기계화(G4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7~32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