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 재해와 대책·복구:토사재해의 위험도 예측
- 전문가 제언
-
□ 산사태는 호우나 강진이 발생할 때 일어나며, 우리나라는 호우가 내릴 때 발생한다. 호우가 내리면 빗물의 대부분은 경사면을 따라 흐르나, 일부는 땅속으로 침투하여, 흙의 마찰력을 약화시켜, 흙의 마찰력이 토사의 전단력보다 약해지면 산사태가 발생한다.
□ 일본은 방재과학기술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별로 환경판독사진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산사태 위험도를 나타내는 지형도(1:5만)를 작성하고 있으며, 산사태의 위험도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일본은 이 위험도를 기초로 하여 호우시의 교통통제나 위험지역의 대피를 실시하고 있다.
□ 다른 선진국에서도 영국에서는 오랜 기간의 조사에 의하여 9,000개 이상이 수록된 산사태자료 디스크를 일반에 판매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각각의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명 및 위치, 산사태의 크기와 시기, 현재의 대책상황, 광역지질 및 상세 암석자료, 지형 및 현장의 배수특성을 담고 있다.
□ 우리나라는 해마다 장마철이나 태풍으로 인한 집중호우 시에는 상당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광역의 산사태 위험분포도(1:50만)와 사면불안정도(1: 25만)가 작성되어 있지만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보다 상세하게 하여, 적어도 산사태를 방지는 하지 못할지라도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는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 저자
- Okimura Tak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2(9)
- 잡지명
- 기초공(E36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14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