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 화염의 검댕 생성과정에 대한 레이저화상 계측(Measuring Technologies for Combustion Products and Air Pollutions)
- 전문가 제언
-
□ 디젤엔진은 휘발유엔진에 비하여 매연이 많이 발생하며, 이는 디젤유가 휘발유에 비하여 분자량이 큰 분자로 이루어져 있고, 분자 중 탄소 대 수소 비율이 휘발유보다 크기 때문에 연소 시 불완전연소가 되기 쉬우며, 고온고압에서 폭발을 일으킬 때 연료와 공기가 섞인 혼합기 내의 산소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현재 디젤승용차의 보급률이 가장 높은 유럽의 경우 유로-3이라는 디젤승용차의 배기가스 규제기준(주로 일산화탄소, 입자상물질 및 NOx)을 2000년부터 시행하고 있고, 이보다도 기준이 더욱 엄격한 유로-4를 시행할 예정이다.
□ 디젤엔진의 분무화염에 대하여 검댕의 생성과정을 자외광여기 LIF와 적외광여기 LII를 이용하여 이를 화상으로 나타내 관찰하는 한편, 이를 이용하여 검댕의 생성과정의 개념모델을 만든 것은 시의 적절한 연구라 할 수 있으며, 이 결과는 앞으로의 디젤엔진 개발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는 현재 디젤승용차의 수요를 막기 위하여 유로-4에서 규정하고 있는 배기가스 규제기준보다 훨씬 더 엄격한 기준을 채택하고 있지만, 2005년에는 유로-3와 유로-4의 기준을 병용하고, 2006년부터는 유로-4 수준으로 통일되도록 대기환경규제법 시행령을 개정하였다.
□ 이에 따라 자동차업계에서는 디젤승용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개발경쟁이 치열하며, 앞으로도 더욱 강화될 배기가스 규제기준과 관련하여, 본문에서 수행한 실험과 유사하게 검댕 생성과정을 규명하고,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자
- Hidenori KOSAKA; Tetsuya AIZ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83(929)
- 잡지명
- 일본에너지학회지(M3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10~715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