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기유량계측기법과 새로운 기기 사례
- 전문가 제언
-
□ 공장의 프로세스열로서 증기를 이용하는 경우, 증기의 유량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생산품의 생산원가와 에너지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증기유량계는 차압식 유량계, 소용돌이 유량계 및 초음파식 유량계가 있으며, 차압식 및 소용돌이 유량계는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단점이 있으며, 초음파식 유량계는 다른 식의 유량계가 지닌 단점도 없고, 정확도도 훨씬 높지만 가격이 비싸다.
□ 일본의 Yamatake(山武)사는 1906년에 창업한 세계 굴지의 계측장비 전문제조회사로서, 증기, 가스, 기름, 물 등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를 비롯하여, 공장자동화장비, 제어밸브 등의 기기를 생산한다. 당사는 지금까지의 오랜 경험을 살려 「STEAMcube」라는 상표명의 포화증기 전용의 유량계를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다.
□ 이 제품은 기존의 차압식 유량계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지만, 단점을 극소화한 제품으로서, 교정에 의하여 차압과 유량과의 관계를 정확하게 하면, 정확도가 매우 높은 유량을, 그것도 극저유량까지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도 에너지수요의 12%를 공장용의 보일러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정확한 유량계의 설치에 의하여 에너지소비량을 파악하고, 그 효율향상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Shoichi GYOB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56(10)
- 잡지명
- Energy conservation(A0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1~75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