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에너지 수급과 원자력의 전망 (World Energy Demand and Supply, and Prospect of Nuclear Energy)
- 전문가 제언
-
□ 원자력의 안전성과 경제성이 높여지고, 원자력폐기물처리시스템이 완전한 것이 되면 원자력에너지는 지속되는 에너지믹스에 크게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재생가능에너지, 2산화탄소분리 및 회수, 에너지효율개선 및 원자력 등의 어떠한 선택도 현시점에서는 배제할 수가 없다. 오히려 지구온난화문제의 현재화(顯在化), 그로발한 대처의 전개에 의해 탄소배출에 대한 비용 압력이 높아지면 원자력의 경제적 우위성이 높아질 것이다. 또 건강피해 등의 외부비용을 내부화하여 최적에너지선택을 할 수 있게 되면 역시 원자력의 경제성을 높이는 방향도 예상할 수 있다.
□ 2020년경까지는 원자력발전의 융성함은 바랄 수 없지만, 기존 원자력발전의 양호한 운전이 투자가들 사이에서 원자력의 평판을 높이고 있는 움직임이 있다는 것, 새롭고 또 경제적인 원자력이 개발되고 있다는 것, 2산화탄소배출비용 및 건강 등의 외부비용의 내부화를 가미하면 원자력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 등을 감안하면 그 이후 원자력의 부흥, 그리고 환경대책 및 에너지안전보장대책의 중심에 자리를 메길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한국의 원자력발전의 장래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한국의 원자력의 안전성, 경제성 향상, 폐기물처리시스템의 완성 등으로 에너지자원의 안전보장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필요하고 중요한 고려사항들이다.
- 저자
- Norihiro Oku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89(9)
- 잡지명
- 전기평론(D07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20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