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 MEMS에 의한 자동주행의 실현(MEMS Solution 2004 (1) : Car sensors evolving together with MEMS technology, future goal is full-automatic driving)
- 전문가 제언
-
□ MEMS기술이 국제적 이슈로 등장한 것은 1980년대 중후반기이지만 라이프사이클로 볼 때는 도입기에 있는 기술이 많다. 이것은 MEMS기술이 앞으로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응용·개발과 MEMS산업의 발전가능성이 무궁한 분야임을 의미한다.
□ 여기서 Toyoda연구진이 개발한 자동차용 각속도 및 가속도센서는 반도체미세가공기술을 응용한 것으로서 MEMS기술의 확산을 이끌어 온 성장기 MEMS디바이스이며, 국내외 자동차에 탑재되고 있는 기술이다.
□ 최근 일본의 Nomura연구소가 정부(NEDO)의 용역으로 수행한 “MEMS산업기술의 개발전략보고서”에 의하면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 등 기존 자동차용 센서시장(Established Market)규모는 2010년까지 여전히 MEMS시장의 주역으로 지속적 수요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이러한 가속도/각속도센서의 수요증가는 이 분야의 기술발전을 보다 가속화시키고 개발경쟁이 치열할 것임을 예고한다.
□ 또한 이 자료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속도와 각속도를 동시에 검출하여 자동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SOI형 가속도센서의 연구개발에 의해 무인자동주행시대를 맞게 되는 자동차분야의 센서MEMS기술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 국내에서는 산학연 모두 최근 MEMS기술의 연구개발 활동이 비교적 활발한 국면이 조성되고 있다. 가속도센서를 비롯하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센서의 국산화촉진과 새로운 센서응용확대를 위한 노력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NONOMURA Y.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231)
- 잡지명
- Nikkei microdevices(B74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75~83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