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MOT 인재 육성의 추진 : 산학 연휴에 의한 새로운 인재 육성을 위해

전문가 제언
□ 지금까지 경제 발전에 관한 일반적인 인식은 올바른 경제 정책과 산업 정책의 기초 위에 자본, 부존자원, 노동력 등의 수단을 잘 활용하고 통상 정책과 마케팅 기술을 통해 해외 시장을 넓혀 나가면 저절로 달성되는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경제 성장이 어느 기간 계속되고 산업 구조가 일정 수준까지 고도화되면, 기술 외적인 수단을 통해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추구하는 전략은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기존 제품의 시장 규모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새로운 자본을 확보하기 어려워지며, 부존자원도 무한정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게 되면서 경제 발전을 위한 새로운, 그리고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기술에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즉, 기술적인 수단에 의해서만 대외적인 경쟁력과 대내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데 생각이 미치기 시작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기술 외적인 수단을 통한 경제 성장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게 됐다는 점이 중요하다. 기존의 전통 경제학이 간과한 “기술 요소”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한 것이다.

□ 전통적인 경제 이론은 기술 요소의 수준이 일정하다는 가정 아래 다른 요소들(자본과 노동)의 효율적 결합을 모색하는 데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새로운 이론은 경제 시스템의 동적(動的) 효율성을 중시한다. 동적 효율성은 “주어진” 여건 안에서 최적 해를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여건을 만들어 낸다는 데 있으며 새로운 여건을 창조하는 능력은 “기술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이다. Ricardo가 제시한 비교 우위 개념은 각 나라는 상대적으로 비교 우위가 높은 제품의 생산에 특화하고 이를 토대로 국제 교역을 하면 모든 나라가 고루 득을 볼 수 있다는 논리이다. 그러나 새로운 이론은 다른 의미의 비교 우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교 우위라는 개념의 핵심적인 기준은 생산 자원의 보유량 차이가 아니라 기술 요소의 성장 잠재력 차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기술 요소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인식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핵심기술”과 “전략산업”의 등장으로 연결되었다. 기술경영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여기에 있으며 일본의 경우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MOT 인재육성을 통한 성장잠재력 확보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저자
K. ICHIHA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1(9)
잡지명
고압가스(A16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87~792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