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흐름 주입 분석법(Flow Injection Analysis : Inorganic Compounds)

전문가 제언
□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산업폐수, 생활하수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에 의해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환경오염물질 중에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독성 또 발암물질이 많으므로 이들을 신속하게 분석하는 분석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 현재 사용되는 형태의 흐름 주입법(FIA)은 1970년대 중반에 처음으로 덴마크의 Ruzicka와 Hansen, 그리고 미국에서 Stewar와 그의 공동연구자들에 의해 설명되었다. 흐름 주입분석법은 분할 흐름법의 발전 산물이다. 그리고 이것은 혈액이나 소변 시료에 있는 여러 가지 화학종을 자동적으로 반복 정량하기 위해 1960년대와 70년대에 임상실험실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FIA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요소는 시료 주입, 재현성 있는 타이밍, 조절된 분산이다. 소량의 시료를 흐르는 유체속에서 아무 방해 없이 주입하여 검출기까지 일정한 시간에 이동시키는 것은 FIA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이다.

□ 국내의 케이맥(대덕밸리 벤처기업)은 화학물질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자동 모니터링할 수 있는 흐름주입식 자동분석 분광기를 개발했다. 이 제품은 흐름 주입분석방식을 이용해 환경 · 공정 · 모니터링, 제약 및 임상실험 등 시약 또는 원료의 화학 조성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공정의 온라인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현대의 분석법은 빠르고 정확해야 한다. 또 시료의 양도 적어야 하고 경제적으로 싼 기계를 유용히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자동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해 위험하거나 사람의 조작이 어려운 상태라도 이용이 가능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제품 생산 공정의 점검이나 많은 시료 처리를 필요로 하는 병원, 위험한 물질을 다루는 연구소 또는 빠른 분석결과를 요하는 곳에서는 이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저자
Mitsuko OSHI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357)
잡지명
Bunseki(F035)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28~532
분석자
이*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