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가스의 보급 확대에 공헌하는 장치의 개발 : 水島(미지마) LNG 기지 건설 공사를 중심으로
- 전문가 제언
-
□ 한국의 LNG 수입 및 공급은 한국가스공사(KOGAS)가 맡고 있다. 해외 원산지에서 액체천연가스(LNG) 상태로 도입되어 KOGAS는 다시 기화하여 발전도 등에 직접 공급하거나 일반 도시가스 사업자에게 공급되고 있다.
□ 한국의 사용 현황을 보면 1986년 말 평택화력발전소에서 45,000톤의 발전용 천연가스를 판매한 이래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3년에 1,840만 톤이 공급되었고 2004년에는 2,000만 톤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LNG 사용의무 확대와 고급연료에 대한 수요 증대로 도시가스용 천연가스 판매가 시작된 1987년 이후 연 평균 18%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현재 한국의 저장 및 공급기지로는 1986년 평택기지, 1996년 인천기지 그리고 2002년에 완성된 통영기지로 되어 있다. 각 기지로부터 기화된 천연가스를 공급받은 운영지사는 발전소 및 일반 도시가스 사업자의 배관까지 공급하는 체계이다. 공급 배관은 2004년 9월 30일 기준으로 총 2,451km에 해당하는 연결망이다. 세계 각국 에너지 소비량 중 천연가스 비중을 보면 영국 34%, 미국 27%, 대만 22%, 일본 12%에 비하여 한국은 8%대에 머물고 있다. 2010년에는 12% 정도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유자원의 고갈 및 중동 편중 등의 문제와 함께 향후 시베리아 지역의 공급 역할이 본격화 될 것에 대비하여 비축 기지 및 공급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미리 앞서 준비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Masaru ITO ; Yukio AO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6(10)
- 잡지명
- 화학장치(A01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33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