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압접강도 향상에 관한 지식과 방법(Experimental Knowledge and Devices on an Improvement of Joint Strength for Pressure Welding)

전문가 제언
□ 산화막은 습도가 높을수록 연성이 증가하며, 인장 접합하면 접합능력이 증가하여 접합에 유리한 점이 있다. 본래 접합능력은 습도가 높을수록 낮지만 접합강도에 미치는 습도의 영향은 양쪽 균형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연강 압접의 경우에 습도 방치시간에 대한 영향은 고습도 일수록 접합강도는 낮다. 이와 같이 습도의 영향은 재료에 따라서 크게 달라지므로 압접가공 시는 산화막의 성질을 충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 서로 다른 재료의 조합에 있어 적합성은 알루미늄이나 동 등과 같이 활성이 높은 재료는 접합강도가 높으나, 확산접합에서는 부적합하다는 주장이 있다. 이종 재료와 동종 재료의 접합성 관계는 이종 재료에서의 접합강도는 구성하는 각각의 접합강도 평균에 거의 비례관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동종 재료의 접합성을 알면 조합시키는 이종 재료의 접합성을 추정할 수 있다.

□ 압축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어려운 이방성재료, 판으로는 Υ값이 큰 재료, 면내 이방성이 있는 재료 등의 경우는 방향을 정돈시키게 되면 압접하기가 쉬워지며, 표면 결정방위 만을 정돈시켜도 접합이 이상적으로 된다.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깍음(Shaving) 작업을 하게 되면 표면의 한 방향으로만 절단변형이 가해지게 되므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접합 조직을 발달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저자
Masao NAKAMURA ; Seijiro MA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45(524)
잡지명
소성과 가공(C21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02~708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