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 정량화와 항피로 식품 의약품의 개발(Quantitative Evaluation of Fatigue and Development of Anti-fatigue Food and Medicine)
- 전문가 제언
-
□ 피로는 생리적 피로와 병적 피로가 있으며 생리적 피로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방어반응이며 육체적 피로뿐 아니라 정신적 피로도 포함된다. 병적피로는 만성피로증후군, 울증 등 기초 질환이 불분명한 피로와 심장병, 기관지천식, 간염, 빈혈 등 기초 질환이 분명한 피로가 있다.
□ 사람의 피로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척도는 아직 없다. 정신피로, 신체피로, 이(易)피로성 등을 표시하는 생체표지가 개발된다면 피로 예방과, 항피로 식품·의약품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ATMT (advanced trail making test)는 뇌연령계로 본래 뇌의 원기도(元氣度), 민첩성, 유효 활용도를 정량화 한 것이다. 사람이 피로하면 자극에 대한 반응 둔화, 사고력 저하, 주의력 산만, 동작완만․행동량 저하 등 변화가 나타나므로 ATMT를 이용하면 정신피로도 측정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이다.
□ 육체적 피로의 원인은 활동 에너지원의 부족, 피로물질의 축적, 체내의 항상성실조, 중추성조정력의 실조 등이며 피로의 예방을 위해서는 유산 축적의 원인인 무산소운동을 삼가고, 에너지원의 충분한 공급 즉 단백질, 당질, 비타민B1, 비타민C, 비타민E, 타우린의 공급과 적당한 휴식과 수면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수천억 원의 피로회복 드링크제, 항피로 강장제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나 효능의 과학적 근거를 명시한 상품은 적은 것 같다. 또 피로의 질적 및 양적 생체표지의 개발과 그 측정 기술을 확립하여 항피로 식품과 의약품의 개발을 이루어 피로의 방지, 능률의 향상, 산업 효율의 활성화에 공헌하기를 바란다.
- 저자
- Osami Kaji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21(10)
- 잡지명
- Bio industry(G2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0~57
- 분석자
- 박*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