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다양성의 보존을 배려한 삼림관리(Towards Forest Management That Conserves Biodiversity : Landscape Ecology and Hierarchy Theory)

전문가 제언
□ 삼림관리를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연구에 동반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복수의 방법을 결합시켜 문제점에 접근하여 현장과 연구 분야가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배려한 삼림관리방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삼림관리가 대상으로 하는 생태학적 프로세스를 지정하여 관리행위를 과학적으로 하기 위하여 완벽한 실험을 통한 메커니즘을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 landscape Ecology가 생물다양성보전에 공헌하게 되면, 법칙이 일반화될 수 있는 영역을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landscape Ecology가 삼림관리를 할 때에 고려할 수 있는 요인을 landscape Ecology, 스케일, 대상생물 등을 단순하게 추가하여 계속해가면, 일반성이 없어, 응용하기 어려운 법칙만이 도출된다.

□ 예를 들면, landscape Pattern는 보편적으로 존재하나 반드시 landscape Pattern이 생태학적 프로세스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는 할 수 없다. 앞으로 landscape Ecology를 응용한 삼림관리를 과학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큰 스케일의 현상에 수반되는 문제에 접하게 된다. 그러나 대상 생물이나 시스템을 주의 깊게 선택하는 것,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작은 스케일의 실험, 자연의 실험을 이용하는 것, 많은 사람의 협력을 얻어 광범위한 조사를 하는 것, 명확한 논리를 사용한 귀납적인 고찰을 하는 것 등을 적절하게 조합시킴으로써 큰 스케일의 결점이 보전(補塡)된다.

□ 또, 연구자와 필드의 경험이 풍부한 자원관리자는 상호 존중 협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것에 의해서 삼림관리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시공간적 스케일의 크기에 따른 결점을 보완하는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저자
Yamaura, Y.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86(3)
잡지명
일본임학회지(A143)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87~297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