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일안리플렉스 카메라용 교환렌즈의 광학설계(The Optics Design for the Interchangeable Lens of the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전문가 제언
□ 필름용 사진 원판의 사이즈와 촬상소자의 결상부위의 사이즈가 틀리기 때문에 같은 초점거리의 렌즈라 할지라도 유효 사각이 틀려진다. 본문에서 언급된 DX-Nikkor ED 12~24mm F4G 도 35mm 라이카판 사이즈 기준으로 볼 땐 어안렌즈에서부터 초 광각렌즈 급에 해당되지만 실제 35mm 판으로의 환산 초점거리는 그보다 훨씬 길어 표준렌즈 사각에서 망원 쪽으로 간다. 그리고 또한 같은 초점 거리의 렌즈라 할지라도 각 제조사의 촬상소자의 크기가 다르므로 동일한 사각을 가진다고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디지털카메라용의 렌즈 설계는 필름카메라와 기본 개념부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디지털 화됨으로써 렌즈부의 소형화와 특히 광각 측으로의 줌 화가 놀라우리만큼 급속도로 진행되고 레트로 포커스 타입의 렌즈군 구성이 보편화 되었으며 광축 외부로 갈수록 구면수차, 코마수차 등의 수차보정의 필요성에 따라 비록 가공이 어렵고 양산성이 낮다고 해도 비구면 렌즈를 채택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비구면 렌즈 가공기술의 발전에 더욱 큰 진전이 있게 되었다.

□ 오늘날 디지털카메라가 소형화, 박형화 되고 있는데 이에는 최근 폭발적인 성장세에 있는 PDA(개인용 휴대단말기)의 발전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PDA에 조립되고 있는 초소형의 비구면 렌즈도 새로운 렌즈가공기술의 개발로 극복 가능해진 점등이 더욱 디지털 영상기술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있다할 것이다. 앞으로 기록매체의 메모리소자 기억 용량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어 머지않아 스틸카메라와 무비카메라의 구분조차 할 수 없는 시기가 곧 올 것이라 사료되는 바이다.
저자
Haruo SA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33(9)
잡지명
광학(G134)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537~543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