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카메라용 촬상소자(Images Sensor for Digital Still Cameras)
- 전문가 제언
-
□ 최근, 디지털 카메라가 급격히 대중화되면서 사진의 기록과 보관 및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에 통용되던 필름 카메라의 아날로그 문화가 디지털 문화라는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다.
○ 디지털 카메라는 종래의 필름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을 현상, 인화하여 다시 스캐닝하던 복잡한 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컴퓨터에 입력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기간 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어 카메라 시장의 주종으로 되고 있다.
□ 국내 카메라 공급업체에 따르면 전체적인 경기침체 속에도 디지털 카메라 시장은 올해 6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카메라 공급업체들은 앞 다퉈 고화소수의 신 모델을 선보이며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300만 화소급 디지털 카메라가 40~50만원 대의 저가격을 형성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 일본이 세계 디지털 카메라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도 Sony, Canon, Nikon, Olympus 등이 국내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테크윈이 국내 디지털 카메라 시장의 11%를 차지하고 있다.
□ 한국무역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카메라 핸드폰의 등장으로 내년에는 세계 디지털 카메라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어 전년대비 증가율이 약 22%로 감소되고, 2006년부터는 더 이상 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일본의 경우, 일본 국내의 디지털 카메라 시장이 포화상태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수출에 치중하고 있는 상황으로 국내 카메라 업체의 기술 개발에 만전을 기해야 할 시기이다.
- 저자
- Takeshi MIS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3(9)
- 잡지명
- 광학(G1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44~549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