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카메라의 색재현 향상 기술(Color Image Processing in Digital Cameras)

전문가 제언
□ 필름 카메라 시대의 컬러사진 발색에는 사진의 색조를 결정하는 변수로서 렌즈 코팅, 필름의 종류, 인화지의 선택, 인화 시 필터의 선정 등이 있었기에 어느 한 가지라도 표준을 벗어나면 좋은 색조의 사진을 얻기 어려웠다. 그러나 디지털에서는 촬상소자에 맺힌 상을 처리하는 데는 전자적인 방법으로 하기 때문에 미묘한 색조의 변화도 보턴 하나의 조작으로 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보편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카메라와는 인화 시(時) 에도 사진의 화질에서 차이가 느껴진다고 한다. 이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적 차이라고 볼 수 있다. 필름의 종류에 따라 발색특성이 다르고 입상성도 다르고 필름의 현상과정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인화과정에서도 노광 필터 호수의 선택에 따라 컬러 발색이 매우 달라진다.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촬상소자에 맺힌 상이 소자의 특성에 따라 특정 컬러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최근 많은 연구 노력으로 자연색에 가까운 발색, 거부감이 없는 발색이 가능해지고 있음은 다행이라 할 수 있다.

□ 수십 년간 발전을 거듭해온 필름 카메라와 필름의 발색특성은 프로 사진가들에게 익숙해져 있었고, 새로운 메커니즘과 방법으로 사진 감상을 해야 하는 디지털 사진에서는 기존의 많은 사용자들에게 다소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디지털 세상에서의 편리함과 유용함은 그러한 모든 불편을 감수하고도 남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사료된다.
저자
Takaaki FUKU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33(9)
잡지명
광학(G134)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556~561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