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카메라의 손떨림 보정기구(Structures of shake compensation for digital cameras)

전문가 제언
□ 일반인의 경우 카메라를 손에 들고 화면이 흔들리지 않게 사진을 찍으려면 셔터 속도를 최소 1/60초 이상으로 설정해야 하며, 망원렌즈는 200mm 이상이 되면 삼각대(tripod)가 없이는 곤란하다. 그러나 프로 카메라맨의 경우 이보다 약 3~4단계 정도 낮은 레벨인 1/15초 및 250mm 망원렌즈까지도 카메라를 손에 들고 흔들림 없는 촬영이 가능하다. 과거 아날로그 시절에는 고배율 줌렌즈를 장착한 캠코더에서 채택되어진 손떨림 방지기구가 디지털 시대에는 필름대신 촬상소자가 사용되며 카메라렌즈에 고배율의 줌렌즈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로 동영상까지 촬영이 가능함으로 비디오캠코더에서 사용된 손떨림 방지기구 채택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 디지털카메라의 손떨림 보정은 디지털카메라의 중요한 기능이 되어 앞으로 탑재기종이 점차 증가되리라 예상된다. 기술적으로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과 CCD 시프트 방식의 손떨림 보정이 주류를 이루며 소형 고성능화 될 것이다. 또한 장래에는 화상처리 방식의 손떨림 보정기술의 기술적 진전도 기대해 볼만하다.

□ 손떨림 방지기구의 핵심은 손에 들린 카메라의 미동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여기에는 기계적인 센서로 각속도 계와 화상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전자센서의 역할이 주류이다. 최근 고속 데이터 처리기술의 발달로 촬영된 영상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보정해주는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리로 응용되는 각종 센서의 종류와 그 작동개념과 응용력을 보여준 사례로 앞으로 디지털 세계의 발전성향을 볼 때 이를 계기로 디지털 화상 및 영상기록 매체의 무한한 응용성이 기대된다 할 것이다.
저자
Yasuaki SER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33(9)
잡지명
광학(G134)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550~555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