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카메라의 소형,박형화(Miniaturization and Thin Shaping of a Digital Camera)

전문가 제언
□ 디지털카메라의 초창기에는 종래 필름카메라의 렌즈를 그대로 사용하는 수준이었으나 전자부품의 소형화와 대중 범용으로의 발전과 소형, 박형화가 계속 진행됨으로 해서 과거에는 최고급의 몇몇 기종에만 선별적으로 사용되던 비구면렌즈 사용의 일반화되고 종래의 렌즈 설계에서는 상상도 못했을 다면 프리즘을 이용한 초박형 렌즈 설계 등 렌즈부에도 획기적인 신기술이 도입되었고 결국은 렌즈의 외경 크기가 카메라의 최종 외형두께를 결정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어 오늘날 렌즈교환 일안리플렉스식 고급 디지털카메라의 경우 카메라의 외관을 보면 렌즈가 몸체와의 균형이 일그러져 렌즈만 두드러지는 듯한 기형적이고 생소한 느낌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 카메라 부착 휴대단말기의 첨단화와 다기능 탑재, 고해상도 실현 등으로 디지털카메라의 위치가 위험한 지경에까지 이르고 있으나 화상의 질을 생각할 때 크게 고급기종과 일반 대중용으로 대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고급기종이라 함은 렌즈의 조작으로 다양한 묘사가 가능하고 작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작품성을 부여할 수 있는 상태의 고기능을 의미하며 일반 대중용이라 함은 보통의 기록매체로써 아무나 손쉽게 촬영할 수 있고 충분한 선예도와 해상도를 가지며 일반인이 만족할 수 있는 화질과 색상을 제공하는 기능만 있으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대중용 정도의 기능과 성능을 가지는 디지털카메라 라면 앞으로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기가 디지털카메라를 완전히 대신할 날도 멀지 않았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 모든 문명의 이기들이 발달과정과 그 추세를 보면 점점 다기능화, 소형화, 간편화로 가다가 나중에는 다시 단순, 복고풍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보게 된다. 디지털카메라 역시 큰 스페이스를 차지하는 렌즈와 구동부의 초소형화가 이루어진다면 더 이상 기능적으로는 만족하지 않고 최종 아웃풋인 사진의 화질을 따지는 단계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때 쯤에는 다시 대형 카메라에서만 느낄 수 있는 섬세하고 부드러운 질감 묘사가 그리워질지 모를 일이다.
저자
Masaru EG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33(9)
잡지명
광학(G134)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532~536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