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 반도체 레이저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의 현황과 과제(Recent Progresses and Problem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Organic Semiconductor Lasers)

전문가 제언
□ 레이저, 발광 소자, 수광 소자 등의 광전자 소자는 광전자학(photonics)분야의 핵심 부품이며, 지금까지 소재는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한 무기반도체를 주종으로 하여 제작하고 있다.

○ 최근, 상기와 같은 기존 소재의 한계를 뛰어 넘는 신소재의 한 분야로서 유기물 반도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 M. Ichikawa 등은 유기반도체 레이저의 활성재료로서 스티릴벤젠(styrylbenzene) 유도체가 유망한 재료계의 하나로 판단하고, 다양한 스티릴벤젠 유도체(LD1∼LD6)를 합성하여 그에 대한 레이저 활성을 검토하여 상당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어 주목된다.

○ 반도체 레이저의 소재로서 유기재료를 사용하면, 연질 재료인 유기재료의 우수한 가공성을 활용하여 나노임프린트(nanoimprint) 법 등에 의한 간편한 미세구조의 제작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유기고체의 DFB, DBR 레이저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통신 분야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 현재, 레이저 소자는 전 세계적으로 미국과 일본이 시장의 70%를 주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5% 정도에 머물고 있다.

○ 국내의 광 반도체 소자 분야의 연구는 레이저 시장이 협소함은 물론 실리콘 반도체에 밀려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초고속 통신망의 확충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고려하면 이 분야에 대한 범국가적 투자와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저자
Musubu ICHIKAWA ; Yoshio TANIG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4
권(호)
32(9)
잡지명
레이저연구(D212)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570~575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