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성 규소강판 2차재결정에서의 AlN 역활(The Role of AlN on th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of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 전문가 제언
-
□ 발전기나 전동기에는 무방향성 규소강판이 주로 사용되고, 변압기의 철심(core)에는 방향성 규소강판이 주로 사용된다. 무방향성 규소강판은 결정방향이 랜덤(random)하여 등방적인 자기특성을 보이며, 방향성 규소강판은 특정방위의 결정립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연방향의 자기특성이 우수하다.
□ 자화용이축이 일정방향으로 맞추어진 고성능의 철심재료의 제조는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드로잉이나 구부림가공을 받으면 내부변형발생에 의해 성능저하가 초래되므로 본래 요구하는 고성능 유지 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사용자는 어닐링에 의해 내부변형발생을 제거하고 성능회복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 방향성 규소강판처리를 위한 노내 분위기는 무방향성 규소강판과는 달리 CO를 포함하는 DX 가스는 사용하지 않고 N₂베이스 건조 가스 또는 N₂가스를 사용한다. 또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폭발위험이 있는 H2, AX가스 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규소강판이 발달되어 있는 일본에서는 절연피막까지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 다양한 종류로 생산되며 통상 800∼850℃의 어닐링온도에도 견딘다.
□ 방향성 규소강판의 2차재결정에서 AlN의 역할을 석출물에 의한 입계이동 억제력과 기계적 억제력 및 석출방위에 의한 억제력의 상호작용으로 해석한 본 해설은 방향성 규소강판뿐만 아니라 비정질을 포함한 모든 전자기재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저자
- Akira SAKAK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9(2)
- 잡지명
- Hueramu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2~57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