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강슬래그를 영양원으로 한 해양식물 플랑크톤 증식에 의한 CO2 고정화(Enhancement of Photosynthetic CO2 Fixation by marine Photoplankton with Steelmaking Slags as a Nutrient Source)

전문가 제언
□ 현재 지구상에 배출되는 연간 CO2 총 배출량은 223억 톤에 이르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의 화석연료 의존도는 80.8%로 중국, 인도 다음으로 높으며, 한국의 CO2 배출량은 세계 16위, 현재 1인당 CO2 배출량은 약 2.1톤으로 세계 9위를 차지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CO2 배출량이 많은 것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에너지 다소비 산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 국내의 CO2 저감연구는 주로 ①에너지 절약 및 화석연료 이외의 대체에너지원 활용에 의한 CO2 배출량 감소 연구, ②다량 배출되는 고정원에서의 CO2 분리 및 회수 연구, ③CO2의 화학적 고정화에 의한 유용한 화학물질로의 전환 연구, ④미생물에 의한 CO2의 생물학적 고정화 연구에 관련된 것들이다.

□ 촉매반응을 통한 CO2의 고정화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관점에서 추진되고 있다. 첫째는 지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CO2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며, 둘째는 CO2를 값싼 탄소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다.

□ 슬래그를 이용하여 CO2를 고정하고자 하는 지금까지의 연구로는 고로 슬래그 시멘트 페이스트(cement paste) 내 염화물 고정화율 평가에 관한 연구와 슬래그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의 고정화 연구 등이 있으나, 슬래그를 영양원으로 한 해양식물 플랑크톤 증식에 의한 CO2 고정화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었으므로 관련연구 수행과 정책입안에 매우 유익한 정보로 판단된다.

□ 일본의 사례이기는 하나 철강업의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슬래그를 보다 가치가 있는 곳에 활용하기 위한 노력과 지구온난화 방지에 철강업계가 솔선하여 앞장서는 자세는 우리나라 철강업계가 본받아야 할 일로 사료된다.
저자
Takahiro Mi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8(12)
잡지명
Hueramu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4~39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