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슬래그 재활용 현상과 과제 (Present Status of Recycling Iron and Steel Slag)
- 전문가 제언
-
□ 포틀랜드 시멘트의 탄산가스 배출은 0.235kg·c/kg으로, 강판생산의 경우 0.436kg·c/kg보다 적다. 제철소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인 고로슬래그를 시멘트의 일부로 대체할 경우, 탄산가스배출량이 0.138kg·c/kg 정도로 현격히 감소한다.
□ 제철산업에서 발생되는 고로슬래그를 포틀랜드 시멘트에 적극 활용할 경우, 석회석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와 더불어 고로슬래그의 재활용 효과로 인하여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 PS ball은 전로슬래그를 분무법(atomizing)으로 처리한 풍쇄 슬래그를 말한다. PS ball을 철광석 대체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철광석 대비 Al2O3 함량이 약 3배 정도 높고, Fe2O3은 적게 함유되어 있어 설비코팅 방지 및 원부재료 조정이 용이하다.
□ 연약지반 개량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sand compaction (sand drain) 공법에서, 연약지반층에 주입하는 수직재와 그 위에 하중을 실어주는 역할을 하는 수평재로 사용하는 모래를 PS 볼(ball)로 대체할 수 있다. PS 볼은 유해물질의 배출이 매우 적은 청정한 재료이므로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 포스코는 향후 매립량 최소화를 위한 고형화 대상 슬러지 신규 수요처를 발굴 추진하며 시멘트 의존도 탈피를 위한 수재슬래그 수출확대 및 레미콘 직사용, 괴상슬래그의 철도 노반재 활용 등 슬래그 용도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 철강 슬래그를 재활용하는 기술에 있어,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월등히 앞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철강업계에서는 선진기술을 조속히 입수하고 재점검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철강 슬래그 활용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과 산학연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Minoru Fujiwa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8(12)
- 잡지명
- Hueramu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7~23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