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inerals 프로젝트 안에서의 Grid 툴 통합(Grid Tool integration within the eMinerals Project)
- 전문가 제언
-
□ Grid는 전 세계에 분산돼 있는 첨단 연구장치, 자료 등을 자신의 연구실에서 시간과 공간의 구애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가상 기관들의 통합 구조 개념으로 제안되었다. eMinerals 프로젝트에서는 많은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Grid 환경에서 환경과제들의 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하는 중이다.
□ 이 글에 논의된 eMinerals minigrid는 현재 운행 중인 것으로, 전산과 자료 구성성분, 즉 Condor, PBS와 Globus v2 위에 구축된 전산 및 저장자원중개기(SRB: Storage Resource Broker)와 CCLRC 자료 길라잡이(portal)의 합성 이용에 기반한 자료 구성성분들뿐 아니라 미들웨어(middleware) 구성성분과 이용자들이 다른 환경에서 작업을 제출하는 시설들이 통합되었다.
□ 이 프로젝트의 목적들 중의 하나는 이미 구축된 표준들의 기반에서 과학 탐구에 시범으로 적용될 Grid 기반의 인프라(infrastructure)를 구축하는 데 있었다. 한 가지 핵심 특징은 전산과 자료 작업들을 작업 시스템 수준에 통합하는 방법에 유사한 전산과 자료 미들웨어 툴(tool)들을 통합하는 것으로써, 과학 이용자들과 긴밀한 협업을 최우선적으로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분자 시뮬레이션 커뮤니티(community) 회원들은 전형적으로 적은 개별 전산 자원들을 갖고 작업하고, 통상의 Unix 툴을 통하여 그들 자원의 자료들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확인된 인증절차의 이용, 방화벽과 사설 IP 주소들의 풀을 활용하는 새 버전들을 수용해야하는 등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Grid 구축사업이 2002년 이후 계속적으로 구축되어 왔고, 최근에 한국형 Grid 미들웨어 패키지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개발되었다고 보도된 바 있다. 이 기술개발로 R&D 주기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고가의 첨단 연구장비 구입비용이 많이 줄어들 뿐 아니라, 세계 연구자들과의 협업이 필요한 공동 연구과제의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Mark Calleja, L. Blanshard, R.Bruin, et a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권(호)
- 잡지명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6
- 분석자
- 박*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