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국 연구시설관리연구회의 과학 분야 메타데이터 모델: 버전 2(CCLRC Scientific Metadata Model: Version 2)

전문가 제언
□ CSMDM(CCLRC Scientific Meatdata Model)은 2001년에 시제품으로 구축된 메타데이터 모델로서 다양한 과학 분야의 연구 자료를 저장, 상호 교환, 협력 작업, 검색 등에 가장 적절한 데이터 포맷을 제공한다. 국내의 산ㆍ학ㆍ연에서 수행하는 연구개발 결과가 기관 간에 공유하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연구개발 주체들이 개발 결과를 공유할 동기부여가 되어 있지 않고, 메타데이터 모델 같은 실제 데이터를 공유할 방법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 CSMDM의 모델을 국내 실정에 맞게 메타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하면 연구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 인터넷 환경의 급속한 확산으로 정보공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공유의 가장 큰 걸림돌은 데이터의 의미, 구문, 표현의 불일치를 해결에 있다. ISO/IEC 11179와 20943에서는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etadata Registry : MDR)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 구축하는 대부분의 정부나 기업의 정보시스템은 XML기술과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업무를 처리하도록 설계함으로 국내에서도 이러한 메타데이터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 국내에서 이공계 분야에는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중소기업청 등에서 국가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하고 각 부처의 산하 기관인 평가기관에서 과제를 평가 및 관리를 하고 있다. 과제 접수 관리 시스템은 과제를 제안할 때 제안하는 기관에서 직접 전산 입력을 통해 과제 관련 내용을 입력하도록 함으로 제안 과제에 대한 데이터를 전산화하고 있다. 하지만 과제의 수행 결과는 평가기관에서 일부분의 자료만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제를 수행한 기관에서 개발된 기술 자료를 입력하고 공유하도록 하면 국가적 차원에서 기술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저자
S. Sufi, B. Mathew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권(호)
(8)
잡지명
CCLRC Technical Repor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95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