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의 기능성과 그 이용
- 전문가 제언
-
□ 과일과 채소에 함유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phytochemical이라 한다. 이들은 현대인의 건강에 필수적이며 천연물질이므로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본문에서도 기술한 것처럼, 이들은 현대인의 서구적 식습관에서 유발되는 문화병에 효능이 있다. 항암·항산화·항염증·면역증강·단백질합성 촉진·심혈관계 질환의 개선·지질대사 개선 등이 그것이다.
□ 우리나라의 전통 식탁은 주로 천연 채소류를 섭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문화병을 방지하는 예방의학적 기능(preventive medication)을 가지고 있다. 요즈음 젊은 세대들이 서구 식품에 물들지 않도록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가진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전통적 식탁에 서구식을 가미하는 메뉴의 개발이 필요하다.
□ 한편, 동양의 한약재와 미주 대륙의 허브류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국내외 작물연구소와 생약연구소 등에서 수행되고 있어 가까운 시일 내에 많은 신물질이 발견되고, 값싼 제품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생리활성물질을 많이 함유한 신품종의 개발도 식물유전체에 대한 연구진척으로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
□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는 생식과 건강식에 대한 붐이 일고 있으며, 500개가 넘는 바이오벤처의 80% 이상이 천연식물을 원료로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벤처협회가 중심이 되어 이들의 연구효율을 잘 조절한다면 큰 시너지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한 한국식품과학회 등에서 매년 개최하는 phytochemical에 대한 정규 심포지엄도 이 분야의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
- 저자
- Kazuki Shinoha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20(4)
- 잡지명
- BIO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0~38
- 분석자
- 임*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