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공학에 기초를 둔 환경과학의 교육과 연구(Environmental Education and Research Based on Iron and Steel Engineering)
- 전문가 제언
-
□ 철강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및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로는 도금액 청정도 향상기술, 도금용액 정제 및 분석기술, 폐전극 활용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제조기술, 자기를 이용한 성분 분석기술, 슬래그 활용 소결체 제조기술, 폐산활용 페라이트 원료분말 제조기술, 슬래그를 이용한 골재 제조기술, 폐연와를 이용한 화학제품 제조기술 및 TFS(Total Fluid Solutions) 폐기물 재활용기술 등이 있다.
□ 도금액 청정도 향상기술은 도금액과 전해액에서 발생하는 슬러지(sludge)를 제거시키는 방법으로, 공침산화법을 이용하여 도금액내의 슬러지뿐 만아니라 슬러지 발생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는 기술이다.
□ 폐전극 활용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제조기술은 도금작업 후 발생하는 폐 전극을 활용하여 염화니켈 등 도금약품과 산화니켈 전지재료용 출발원료 등 고부가 가치 수입 원료를 국산화하는 기술이다.
□ 폐산활용 페라이트(ferrite) 원료분말 제조기술은 냉연공장 산세 처리 후 발생되는 폐산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염화철 수용액을 제조하는 기술이며, 슬래그를 이용한 골재 제조 기술은 적정 활용가능 골재 중 전로 슬래그의 팽창특성을 완화시키기 위한 시효(aging) 기술이다.
□ 일본 Touhoku 대학에서 최근에 발족한 환경과학 연구과에서 추진하고 있는 업무와 조직기구를 본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관련 정부기관과 철강협회 같은 곳에서 소중하게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 환경 문제는 단독 분야로만 대응할 수가 없고, 광범위한 학문분야로부터 지식을 결집해서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시급히 종합적인 업무를 당당할 대학 내 부설기관 설립이 요망된다.
- 저자
- Tetsuya NAGAS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8(11)
- 잡지명
- HUERAMU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8~43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