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발도상국의 AIDS 관련 암(AIDS-associated cancer in developing nations)

전문가 제언
□ 에이즈(AIDS)는 ‘현대의 흑사병’ 혹은 ‘20세기의 악마’ 등으로 불리는 아주 무서운 후천성 면역결핍증으로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에 의하여 감염된다. 이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하면 헬퍼 T 세포라는 적혈구를 공격하여 면역세포를 파괴시켜 면역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한 복합적인 기회감염과 악성종양 등이 발생되어 사망케 되는 무서운 전염성 질환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개발도상국가에서 주로 많이 나타나는 암적 존재인 AIDS에 관련된 카포시 육종, 비 호지킨 임파종, 경부암, 결막암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아프리카 이외의 브라질,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등에서 발병되는 AIDS와 관련된 질병들을 문헌을 통하여 리뷰하였다.

□ WHO의 집계에 의하면 1981년 6월 미국 LA에서 처음으로 5명의 동성연애자로부터 AIDS환자가 발견된 이후 그 숫자가 계속 증가되었다. 1995년 12월 현재 환자의 수는 193개국에서 130만 명으로 집계되었고, 이외에도 보고되지 않은 실제 환자 수는 60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UNAIDS 통계에 따르면 1999년 말 HIV 감염자는 2,450만 명으로 예상치의 3배가 넘었다. 2002년 말 통계는 전 세계에 생존하고 있는 AIDS 환자와 HIV감염자 수를 4,200만 명으로 예측하고 있다. 대륙별로는 남부 아프리카가 2,940만 명으로 전 세계의 70%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지역이 600만 명, 남아메리카 150만 명 등의 순서이다. 미국 통계에 의하면 현재까지 HIV 감염환자가 AIDS 환자로 전환되는 빈도는 매년 5%이므로 AIDS환자 수는 적어도 20배에 이르는 보균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HIV 감염자와 AIDS환자는 전 세계에 분포하여 HIV는 금세기 가장 중요한 감염원으로 전 세계의 인류보건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다. AIDS의 전파 경로는 주로 성 접촉, 수혈 또는 혈액제제, 주사바늘의 공동사용, 그리고 감염된 모체에서 태아로 수직감염을 통해 감염된다. 미국 등에서는 동성 간의 성 접촉이 대부분이나, 개발도상국에서는 이성 간의 성 접촉이 대부분이다. 중앙아프리카의 우간다는 인구의 20~30%가 AIDS 감염자이기 때문에 국가의 경쟁력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마찬가지로 겪고 있는 실정이다.
□ 국내에서도 1985년 12월 처음으로 해외근로자로부터 HIV 감염자가 발견된 이후 AIDS 환자를 포함한 감염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87년 이전에는 여성감염자 발견이 많았으나 88년 이후에는 남성동성연애자를 포함한 외국 장기체류 독신남자들이 가장 많은 감염률을 나타내고 있다. 1996년 6월말 현재 국내에서 확인된 감염자는 총 570여 명이었고, 이 중 환자는 50명이었다. 2001년에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혈청음성 HIV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고, 2002년 말 국립보건원의 보도에 따르면 2002년 한 해 동안 400명의 HIV감염자가 확인되어 국내 HIV감염자는 모두 2,008명으로 증가하였다. 2003년에는 항체 미형성기의 HIV 감염 혈액에 의한 HIV 전파 사례가 발표됨에 따라 헌혈자 혈액의 안전 및 진단 감시 목적의 유전자 검출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국내에서 AIDS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립보건원 주관으로 AIDS의 조기 진단법 개발에 관한 연구, 최근에는 현행 AIDS 검사체계로 진단 불가능한 HIV 감염자 검색을 위한 새로운 검사법 확립 및 감시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가 완료되었다.

□ 국내의 AIDS 관리를 위하여 에이즈 감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예방하기 위한 에이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확산, 집단별 예방교육 활동, 감염 위험 계층의 대한 정기검진 등으로 감염자 보호 및 감염 예방을 강화해야 한다. 발견된 감염자에 대한 환자의 인권과 복지, 주기적인 상담과 보호 등 건강관리 실시와 HIV/AIDS 전파 방지를 통하여 정부는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자
Orem, J; Otieno, MW; Remick, S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6(5)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ON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68~476
분석자
주*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