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치료용 복제의 조직공학 응용(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of therapeutic cloning)

전문가 제언
□ 치료용 복제(therapeutic cloning)는 세포핵 치환기술로서 인간의 질병치료와 장기, 세포 공급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인간복제를 말한다. 치료복제는 한 사람으로부터 기증받은 핵을 난자의 모세포에 치환하여 배아를 생성하고, 이 복제된 배아를 성장시켜 줄기세포를 추출, 배양하여 이식치료에 필요한 뇌 조직, 근육, 피부 등의 세포나 조직을 만들기 위하여 세포핵 치환술을 이용한 복제배아를 만드는 방법이다.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은 정상이거나 질환을 앓고 있는 동물의 조직에 있어서 근본적인 구조적/기능적인 관계를 이해하여 조직의 기능을 복원하거나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생물학적인 대체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공학과 생명공학의 원리와 방법을 응용한 분야이다. 이런 조직공학은 전 세계를 통하여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로서, 치료분야의 방법론을 획기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연구와 기술의 접목된 분야이다. 이 논문에서는 치료용 복제의 조직공학 응용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 현재 복제기술의 적용 현황은 복제 양 Dolly의 탄생 이후 복제원숭이, 복제소 등 다양한 동물에 대한 복제기술을 시도하였고, 더 나아가 인간에 대한 복제 또는 동물과 인간사이의 핵 치환기술 등의 적용에 대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복제기술도 그 기술적 성과가 눈부시게 나타나고 있으며, 1999년 2월 복제 소 “영롱이”의 탄생으로 세계 5번째로 체세포 핵 치환기술에 의한 동물복제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 동물복제기술의 성공과 더불어 우리나라 최초로 인간의 배아복제에 대한 시도는 1998년 12월 경희대학교에서 수행된 인간의 체세포를 복제해 4세포까지 발달시킨 실험이었다. 2000년 8월에 동물복제를 성공시킨 황우석 교수팀이 있고, 냉동배아로부터 줄기세포를 배양하는데 성공한 마리아불임센터의 박세필 연구소장팀은 국내에서 특허출원을 하였다. 최근에 이 연구팀은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해 신경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 인간 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정치적 논쟁은 종교적 종파에 따라, 한 국가나 사회적 생명윤리 경향에 따라 상이하다. 치료복제는 자신의 체세포로서 치료에 필요한 세포나 조직을 배양한 후 자기에게 이식하기 때문에 이식치료와 관련된 면역거부반응을 해결할 수 있는 확실한 효과가 있으며, 세포 차원의 난치병, 파킨슨질환을 비롯한 신경계통 질환, 척추손상, 골관절염 등 현대의 난치병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 치료복제가 인간의 질병치료와 의학적 유용성이라는 관점에서 정당화되는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핵 치환기술을 사용하여 복제된 배아의 이용은 과연 난치병 치료에만 이용하는가에 대한 물음과 관련하여 배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문제가 계속 논쟁이 되고 있다. 복제된 배아가 여성 자궁에 착상될 경우 복제인간의 탄생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식적 복제와 동일한 윤리적 법적 논쟁이 되고 있다. 핵 치환 복제기술을 사용하여 복제된 배아를 사용하는 치료용 복제방식은 아직 이 방식이 질병치료의 임상 적용에서 성공적인 사례가 없고, 논증된 바도 없으며, 언제든지 개체복제로 나아갈 수 있다는 우려와 가능성 때문에 규제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치료용 복제와 관련하여 배아 줄기세포연구가 가지는 의학적 유용성과 예측되는 임상성과 그 가능성, 그리고 폐기될 잉여배아를 이용하여 현대의 난치병을 극복하고 저하시킨다는 점에서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제한적으로 허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 연구에 대한 일정한 지침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저자
Atala, A; Koh, C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6
잡지명
ANNUAL REVIEW OF BIOMEDICAL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7~40
분석자
주*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