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수행 평가에 동료 평가의 영향( The influence of peer review on the research assessment exercise)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학계에서 전문 논문을 제출할 때 거치는 소위 peer-review에 관한 문제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가 있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 중에는 이 과정을 거쳐 온 과학자에게 공명되는 점이 많다.
○ 우리 사회에도 이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으나 본문에서 지적한 점 외에 우리 사회 특유한 맹점도 있다. 우리 사회는 인정 사회이며 따라서 한 과학자의 전도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네거티브 평가가 인간적으로 매우 어렵다. 특히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감정적인 관계로 진입하는 경우도 많다.
□ 연구 결과의 동료 평가는 정확하게 정의하기가 어렵고 광범위한 활동을 포괄한다. ‘동료 평가’는 포괄적인 용어로 인상적인 동료 평가(전반적인 평가), 전문적-수행 동료 평가, 연구비 지급 동료 평가와 학술지 논문 동료 평가 등이 있다.
○ 본문이 주로 다룬 동료 평가의 밑바탕에는 많은 학자들이 가치 있는 논문은 발표되고 반대로 가치 없는 논문은 발표되지 않도록 공동의 노력이 있다는 가정이다. 그러나 평가하는 동료들이 질을 ‘보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는 의문이고, 품질 관리 시스템으로서 스스로 유효하고 신뢰성이 있는지 그 자체를 보증하기 어렵다.
○ 인용회수를 발표하는 JCR을 학술지를 비교하고 평가하는데 유일한 소스로 이용하는 것도 때로는 매우 위험할 수 있다. 계량화한 인용 데이터는 전통적인 질적 및 주관적인 평가를 보충하는 것이지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더구나 인용회수를 계산함에 있어 그것이 긍정적인 인용인지 부정적인 인용인지 구별하지 않는 맹점이 있다. 지난 10년 간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은 ‘저온 핵융합’에 관한 것이었는데, 인용자는 모두 ‘이 논문은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다고 주장한다.’라고 했음에도 이 논문의 인용회수는 매우 우수했다는 점은 우스운 일이다.
- 저자
- Bence, V; Oppenheim, 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30(4)
- 잡지명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47~368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