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n situ 제형의 비경구 약물전달시스템(In situ forming parenteral drug delivery systems: an overview)

전문가 제언
□ In situ 제형 약물전달시스템은 이론적으로는 비교적 일정한 혈장프로필을 보이며 서서히 약물이 방출된다. 본문에서는 비경구방법을 다루었지만 경구, 안약형태, 좌약 등으로도 투약방법이 조사되었다. 기존의 서방형 약물전달에 비하여 in situ 제형 전달시스템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생산과정이 간단하고 투약방법이 용이하며 예민한 약물분자들을 생산할 때 동반하는 스트레스와 주의사항이 적다. 이 시스템은 비경구 저장소 시스템의 전달방법 중 앞으로 거대구(microsphere) 혹은 이식방법을 대치할 수 있을 것이다.

□ 본문에서 언급하였듯이 보고된 대부분의 in situ 제형 약물전달시스템은 투약 후 겔상으로 되는 고분자 소재에 의존하고 있다. 본문에서 다루지 않은 소재로 alginate, gellan, 그리고 xyloglucan과 같은 다당류도 있으며, chitosan/β-glycerophosphate 복합체도 있다. BST-GelTM이라고 불리는 Biosyntech사 제품은 생체적합성이고 생분해되며 열에 민감한 고분자로 물에 불용성인 치료제를 전달한다. 이 제제는 신체 pH를 가졌으며 상온에서 액체로 약물을 캡슐화하고 있다가 주사되면 생체내에서 겔 상태로 된다. 항암제의 약물 농도를 종양에 증가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이를 전신적인 독성없이 국부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ST-Gel로 항암제를 국부 암세포에 전달하는 in situ 겔 바이오고분자 소재로 실험중이다.

□ 바이오소재로 리포솜을 이용하는 방법도 보고되었다. 리포솜을 빠른 in situ 제형 의료용 소재를 만드는 화학반응을 조절하는데 사용하여 in situ에서 졸-겔 혹은 고체화 반응을 하는 주사할 수 있는 바이오소재를 만들고, 이를 상한 조직을 수선하거나 재생하며 상처를 치유하는데 사용하거나 혹은 약물전달에 사용한다. 이는 리포솜을 조영제나 효소, 유전자물질, 포획된 약물을 피부나 정맥주사로 전달하는 용도와는 다른 새로운 방법이다.
저자
Packhaeuser, CB; Schnieders, J; Oster, CG; Kissel, T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8(2)
잡지명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s and Biopharmaceu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45~455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