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과 온도 라이다 확인을 통한 성층권 변화 검사(Review of ozone and temperature lidar validations perform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Network for the Detection of Stratospheric Change)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세계 여러 나라가 각각의 관측소를 운용하며 라이다로 성층권의 오존 농도와 온도를 측정하며 그 데이터를 서로 비교 검토하는 국제 연합 연구를 소개한 것이다.
○ 우리나라는 경희대학이 여기에 참여하여 수원에 DIAS과 산란효과를 이용하는 관측소를 가지고 있다. 그 책임자는 C. H. Lee이다.
- 라이더 시스템은 필요 인력이 작고 유지비가 높지 않아 대기 감지에 사용하기에 좋은 장비이다. 거기에 또 이동식 계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계제작된 각 관측소의 장비를 비교할 수 있게 한다.
□ 인공위성의 확인을 위하여 측정의 수평적 균질성이 우주의 관측기구의 위도에 따라 가능한 오차의 계량화에 필요하다고 한다.
○ 특히 데이터의 질에 관련되는 조직적인 오차는 찾아내어 엄정히 분석되고 또 제외해야 한다. NDSC 조정위원회는 따라서 가능하면 네트워크의 다른 관측소를 방문할 때 이동 시스템을 이용하기로 했다.
○ 자연의 변화에 비해 오존과 온도의 경향은 작기(각각 10년 동안 약 10%와 1 K) 때문에 그 변화가 화산의 폭발이나 극지방의 얼음 구름 같은 커다란 사건에 주로 지배되는 라이더의 성층권 에어로졸의 측정보다 그 잠재적 오차는 더 결정적이다.
- 이런 이유로 현재까지 오존과 온도 분포 상호 비교에 더 노력을 하고 있다.
□ 이 공동 연구 네트워크의 중요한 관측소는 JPL이 운영하는 TMF이며 이 관측소의 관측 결과가 다른 관측소에 참조 자료가 된다. TMF는 또 북반구의 중간 위도 일차 관측소의 중복을 피하기 위한 보충 관측소의 역할도 하기도 한다.
○ 또 중요한 관측소로 극지방의 1993년부터 2000년까지 가동된 캐나다의 Eureka(80.1oN, 86.4oW)가 있다. 그러나 고 위도인 관계로 오존과 온도 측정은 오직 11월부터 3월까지의 극지방 낮에만 가능했다.
- 저자
- Keckhut, P; McDermid,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6(9)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21~733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