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산업 발전과 주위의 경제 환경
- 전문가 제언
-
□ 중국의 고도성장은 중국 인구가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일본은 ‘소자고령화(小子高齡化)’ 시대의 진입으로 판매시장의 감소와 노동력 부족이라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자료에 의하면 한국도 출산율이 매우 작고,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2000년에 이미 전체 인구의 7.1%이며, 2026년에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20%에 이를 전망이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여성의 사회 참여, 외국인의 적극적인 활용 등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무엇보다도 이에 대한 국가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
□ 새로운 전환점에 들어선 중국의 GDP는 2003년 현재로 1,409,852$ (Currency Exchange Rate)를 기록하여 세계 7위이다. 참고적으로 미국의 GDP는 10,881,609$로 세계1위, 한국의 GDP는 605,331$로 세계 11위를 마크하고 있다.
□ 필자는 경제 활동에 중요한 중국의 인구를 3부류로 구분하였고, 그 3부류의 인구는 합쳐서 8억7천명이다. 13억명의 인구 중에서 나머지 4억3천명의 인구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대부분 농업과 수산업 등을 영위하고 있고, 이들이 농 · 수산물 수출의 견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인구층은 타 인구 부류보다 더 급속하게 늘어날 전망에 있다. 한편 이들의 성향은 반드시 브랜드 지향만도 아니다. 한국의 산업계는 이들 계층에 대해서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 필자는 중국만이 일본 경제 경기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미국은 아니라고 하였는데, 비록 대미 무역 흑자는 감소하였지만 아직도 흑자임으로 미국도 일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중국의 제품은 현재 세계의 각국에 수출되고 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외자에 의한 조인트벤처로 수출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한국기업이 어떻게 중국 시장에 뛰어들 것인가 하는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Shin Saihi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451)
- 잡지명
- 기술과 경제(L30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2~25
- 분석자
- 이*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