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결합 고체피막 윤활제에 의한 표면개질(Surface Modification with Resin Bonded Solid Film Lubricants)

전문가 제언
□ 고온, 고압, 진공 중에 있는 특수환경에 사용가능한 고체피막 윤활제의 장단점, 제조공정 및 평가법이 열거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표면처리 기술인 블래스트, 화성처리 및 열처리를 소개하였으므로 고체피막 윤활제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이다.

□ 최근에는 고체피막 윤활제에 요구되는 성능도 매년 높아지고 있으며, 어떻게 하면 장기간에 걸쳐 윤활제가 마찰부에 남아 있을 수 있는가가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고체피막 윤활제의 마멸분이 계(系) 외에 배출되기 어렵도록 설계상의 연구개발을 계속하여야 하며 새로운 용도와 요구되는 성능에 부합되는 실용화에 만반의 준비를 하여야 한다.

□ 이제까지 특수윤활제로 분류되어 있던 고체피막 윤활제도 이제는 윤활제의 하나로 설계단계부터 고려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요구되는 성능도 나날이 고도화되고 있고 지금처럼 처리해 주었으면 좋겠다던 시대는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 중에 신규의 표면처리기술과 복합기술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머지않은 장래에 또 다시 새로운 기술표준이 생기는 것이 기대된다.

□ 고체피막 윤활기술의 동향을 살펴보면 표면처리기술의 복합화하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다. 고체피막 윤활제는 윤활성능 이 외에도 내식성, 절연성, 도전성(導電性), 내후성, 내약품성, 비점착성 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어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각종 용사피막, 경질막, 소결법, 화성처리 및 도금 등과 조합해서 소정의 성능을 이끌어 내어야만 한다. 이에 대응하여 표면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사항을 파악하고 있어야만 실용화를 원활히 할 수 있다.

□ 고체피막 윤활제는 환경친화적인 요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납(Pb)과 안티몬(Sb)류 등의 중금속이 대상이 되며 이에 관해서는 대체기술로의 전환이 시급하지만, 첨가제 이외에도 원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의 관리도 중요하다.
저자
Masahiro KAWA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39(8)
잡지명
설계공학(D12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24~429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