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 개질과 접촉 해석(Surface Modification and Contact Analysis)
- 전문가 제언
-
□ 표면 개질과 접촉 해석에 있어서 유한차분법과 통계적 모델에 의한 계산방법과 계산 결과를 박막의 설계와 수명 예측에 이용한 사례를 여기에서 소개한다. 접촉 해석 프로그램은 표면 개질의 분야에 실제로 사용한 사례는 거의 없지만, 계산 응력과 재료 강도에 기초로 한 최적 설계와 피로 수명ㆍ박리 수명의 예측에 이용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경질막에 의한 균열의 진전 거동에 대해서 파괴역학적인 해석도 추진할 수 있으며, 접촉 해석 프로그램의 이용은 향후에도 확대를 계속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 해석 프로그램의 실용화에 의한 최대의 문제는 박막과 계면의 강도의 정량화에 있으며, 신뢰성이 높은 강도 측정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 경질막과 연질막의 적용 사례를 상세히 열거하였으므로 표면 개질과 접촉 해석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수명 예측을 평가하는 데 유익한 자료라고 사료된다. 또한 실험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경제적인 방법으로 연구비와 연구기간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정착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표면 개질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모재와 다른 재료의 박막 코팅이고 박막 재료는 모재에 비하여 단단한 경질막과 연한 연질막으로 대별된다. 경질막에는 용사와 증착에 의해서 코팅되는 세라믹을, 연질막에는 유화몰리브덴(MoS2)와 불소수지인 PTFE(Poly Tetra Fluorine Ethylene )등의 고체 윤활제를 소개하였다. 아울러 박막과 모재의 접촉 응력을 표면 조도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계산 결과를 설계와 수명 예측에 이용하는 시도를 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Takashi NOG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9(8)
- 잡지명
- 설계공학(D1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37~443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