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용 구성재료에 대한 화학작용의 현황
- 전문가 제언
-
□ 신제품은 소형화와 박형화 보다는 연속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배터리의 개발방향이며 배터리 디바이스로써 연료전지의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최신 휴대용 소형배터리가 개발되고 배터리 용도와 배터리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이것은 2차 전지와 2차 전지의 관련재료에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있다. 리튬폴리머전지는 형상의 자유도가 높으며 박형화에 적합하며 리튬이온전지와의 전환으로 휴대전화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 적용이 진행되고 있다.
□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용량확대는 음극에 의한 적정량의 향상이 중요하지만 동시에 평형상 양극성능을 높여주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코발트산 리튬에 니켈을 첨가하는 방법도 있다. NIMS Plasma Processing Group과 TDK 개발연구소의 연구그룹에서 이용한 MCMB 분말은 인조흑연 분말의 일종이며 콜타르 또는 석유계 중질유를 400℃ 전후에서 용융에 의해 생기는 소구체를 불활성 분위기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고주파 유도열 플라스마(ICP)를 응용하여 인조흑연(MCMB) 분말이 리튬이온전지 음극에서 높은 충방전 효율을 가져온다고 발표하였다.
□ 니켈수소전지(nickel hydrogen battery)는 저전압화로 시장의 목표가 되고 고온 환경에서 충전특성 또는 저온 환경에서 급속 충·방전특성(high rate 특성) 등이 크게 개량되고 니켈수소전지는 사용 편이성이 좋고 고출력화도 가능하기 때문에 부활할 잠재적인 요소가 있다고 보여 진다. 또 니켈수소전지는 휴대전화 또는 노트북 컴퓨터, 비디오카메라, 헤드폰 스테레오, 전기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여러 기능으로 전파되고 있다.
□ 니카드전지(nickel cadmium cell)는 Matsushita Battery Industrial(일본)과 Sanyo Denki(일본)의 2개 회사가 압도적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니켈수소전지는 Moltec(미국), Saft(프랑스), 삼성 SDI(한국), LG화학(한국)이 있고 리튬이온전지는 삼성 SDI와 LG화학, BYD Battery가 참여하고 있다.
- 저자
- Edito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24(9)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4~82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