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본 나노코일의 합성과 특성(Synthesis and Properties of Carbon Nanocoils)
- 전문가 제언
-
□ 탄소 나노코일은 자체의 특이한 형태에 의해 전자파 흡수재나 전자원(電子源), 미소(微小) 영역의 자장(磁場) 발생 및 검출 소자, 나노 레벨의 스프링, 특히 전기나 열의 전도성, 기계적 강도, 신축성 등이 우수한 고기능성 나노 복합소재로서의 기대가 크다.
○ 최근, 나노코일의 합성법, 성장 메커니즘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척되어 머지않은 장래에 대량합성 및 다양한 용도로의 상용화가 예상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탄소 나노코일에 대한 연구가 많은 대학, 연구소, 기업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과학기술부의 창의적 연구진흥사업의 하나인 산화물 나노결정 연구단으로 지정된 서울대 응용화학부의 현택환 교수팀이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성영은 교수팀과 공동연구로 2003년 9월에 탄소 나노코일의 합성에 성공하였다.
○ 현택환 교수팀이 개발한 탄소 나노코일의 합성방법은 매우 간단하고 값싼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용화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탄소 나노코일의 용도 중 하나는 연료전지 내에서 백금을 분산, 지탱해 주는 소위 촉매 담체(catalyst support)로서 기존의 촉매 담체보다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백금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크게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 연료전지는 우리나라의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하나로 선정되는 등, 국내외 자동차 메이커와 전자관련 업체들이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분야이지만 백금을 촉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에서 탄소 나노코일의 응용은 연료전지의 상업화에 크게 공헌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Yoshikazu Naka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24(9)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4~22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