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마스크에 응용하기 위한 합성석영기판의 습식에칭( Wet Etching of Synthetic Quartz Substrate for Photomask Application)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반도체 리소그래피 기술 분야에서 패턴미세화가 진전되고 있는 포토마스크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습식에칭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최근의 동향을 기술하고 있다.
□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 ITRS(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s)는 1990년경 기술노드가 500nm에서 2004년경에는 90nm로, 같은 기간 중 노광파장은 365nm에서 193nm로 빠른 미세화의 진행상황을 밝혔다. 2007년이면 기술노드는 65nm로 진전되고 이 수준의 노광파장을 갖는 디바이스가 양산될 전망이다.
□ 반도체 리소그래피의 원판인 포토마스크는 X-ray 마스크, 위상 시프트 마스크(Phase Shift Mask, PSM), 스텐실 마스크(Stencil Mask) 등과 마스크를 보호하기 위한 펠리클(Pellicle) 기술 등이 포함된다.
□ 이 자료에서 다루고 있는 레벤손 형 위상 시프트 마스크는 시부야-레벤손 시스템으로도 불리며 기존의 일반 마스크 기판에 위상 반전층을 형성하여 이 부분을 투과한 빛의 위상을 반전 또는 변형시킴으로써 해상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 마스크는 양산되어 일부 사용자의 특정마스크에 사용되고 있고, 65nm 기술노드에서는 적용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포토마스크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노광장치와 관련된 기술은 1990년대 중 후반 이후 한국, 일본, EU, 미국의 반도체 제조 및 장치메이커들의 특허출원 경쟁이 매우 뜨거운 분야 중의 하나이다.
□ 이 자료에서 밝히는 습식에칭 등방성과 건식에칭 이방성을 조합시켜 광 리소그래피의 수명연장을 실현하고 있는 기술은 노광장치, 마스크연구·제조에 관계되는 국내 업계와 기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저자
- MOHRI Hiro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55(8)
- 잡지명
- 표면기술 (C1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535~540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