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법에 의한 나노카본의 합성과 응용(Synthesis of Nano-Carbons by the Template Method and their Applications)
- 전문가 제언
-
□ 1985년 축구공 모양을 가진 탄소 분자 C60(탄소원자 60개가 모인 것 : 플러린)가 처음 발견된 이래 전 세계의 많은 연구소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탄소를 합성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 기존의 AAO를 이용하면 직경크기를 20nm이하로는 줄이기가 어려웠으나 제올라이트를 템프레이트(template)를 이용하면 나노튜브의 크기를 1nm이하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제올라이트는 기공의 크기가 수 Å이며, 열에 민감하고, 수용액상의 촉매 흡착 시 pH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촉매 합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탄소 나노 튜브의 직경 및 크기의 제어가 가능하고, 제올라이트의 탄소 나노 튜브의 수율을 측정하여 수직 성장의 탄소 나노 튜브를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dc PECVD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 탄소나노물질의 우수한 전계방출 특성은 현재 가장 현실 가능성이 높은 FED 디스플레이 소자와 LCD backlight용 광원, 백색 전구 등의 응용뿐만 아니라, X-ray 발생용 전자총의 cold 캐소드, 고출력 진공 microwave 증폭 등 고전류 전계방출용, 무선 data 통신기기의 차세대 핵심부품인 초소형∙고출력∙고효율 진공 microwave 증폭기용에 관한 응용연구와 화학적안정성이 높은 투과막, 3차원 나노어레이(nano array)구조인 다공질 카본은 촉매재료, 메탄흡장을 위한 흡착제, 대용량의 전기2중층 커패시터(capacitor)의 전극재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 탄소나노합성기술은 국내에서도 많이 연구하는 분야로 최근에는 single wall만을 생산하는 기술, 저온에서 대량생산하는 기술 등 세계 최첨단의 기술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나노물질을 이용한 폭넓은 응용기술개발은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응용연구에도 응용분야별로 특성화를 시켜 많은 관심이 쏟아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akashi Kyotan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1(8)
- 잡지명
-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of powder and powder metallurgy(C05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95~602
- 분석자
- 이*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