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강식품 관련 제도에 대한 앞으로의 자세(Revision of the Regulatory System for Health Foods)

전문가 제언
□ 식품의 안전 확보에 관한 제언에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관련 부서 규제가 요구되며 ‘건강식품’에서 유통 금지 규정이라든가 광고 등의 규제가 선진국과 비교 검토하여 과하면 조정 및 수정하고 부족하면 보강하여 식품 안전에 국가와 기업이 함께 협력하고 식품 risk를 최대한 방어해야 한다.

□ 우리나라 식품위생법 및 약사법등 식품, 건강식품 및 특수식품 등에서 식품 용기, 유통기간(보존 안전기간), 건강 유지 및 증진에 필요한 영양소의 적정량, diet식품의 필수 영양과 성분, 연령별 유아식품의 적정 영양소, 보건 건강식품의 질병별 유효성의 안전성과 유효성 표시가 철저히 검토되어야 한다.

□ 집단 음식 제도 및 판매에서 음식 제조 조리사의 위생관념과 식품(농수산물 포함)의 유통기간 및 불순물(병원성 미생물 및 농약 성분 포함)의 함량 유무 검사를 시판 전에 철저히 검증하여 국민이 안심하고 식생활에 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식품(건강식품 및 유아식품 포함)의 불량유통시 벌칙을 더욱 강화하여 이러한 위험을 막아야 한다.
저자
Tomoki KAJI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4(8)
잡지명
식품위생연구(D033)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26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