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의 급수 배수물 처리기술(Treatment Process of Supplying Water, Wastewater and Excrement of Toilets)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물 부족국가로 분류되어 있으면서도 물 절약운동을 중요시하고 있지 않고 있는 반면, 우리와 여건이 비슷한 이웃 일본에서는 물 절약과 물재이용에 대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일본은 우수를 수집하여 모래 여과재를 사용한 여과장치를 거친 처리수를 화장실 급수 및 잡용수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 도서지역 등에서는 식수를 제외 한 잡용수는 우수 및 지하수를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 우리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화장실 용수나 잡용수를 식수와 동일한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어, 물의 비용이 많이 소요되면서 물 절약이 되지 않고 있다. 저수 댐에서 표준처리 된 수돗물은 각 수요처에 공급되어 사용된 후, 배수는 대도시에서는 종말처리장으로 소규모 도시에서는 생활 잡배수를 합하여 처리하는 합병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처리하게 되므로, 물의 절약을 위하여 분리배수에 의한 고도처리가 필요하다.
□ 일반적인 수처리 공정은 스크린, 유량조정조, 생물처리조, 침전조, 생물처리조, 침전조, 여과조, 소독조를 거처, 하천으로 방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물이용 시스템은 하천에 부하를 줄이는 단순 이용방법이다. 앞으로 처리배수의 재이용을 위하여 질소, 인을 재거하는 시설을 부가한 고도처리 시스템으로 전환처리 하여, 화장실 및 잡용수의 용도로 재사용하는 시스템으로 변환되어야 물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 저자
- Kazuyoshi Ao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78(8)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97~704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