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통에 있어서 절연 저항과 누설전류의 관리
- 전문가 제언
-
□ 저압배전계통은 변전소에서 수용가에 전기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 배전계통에서 일어나는 정전에 대하여 그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자연현상에 기인한 뇌나 태풍 등에 의한 사고정전과 배전선의 건설이나 보수작업에 의한 작업정전을 생각할 수 있으나, 보수작업에서 정전을 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특히 고도 정보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각종 전기·전자기기가 계속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은 끊임없이 계속 공급되어야한다. 따라서 배전선 보수작업 시에 계속 전기를 공급하는 무정전공법이 이미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새로운 공법이 개발되어야한다.
□ 무정전공법에는 활선공법, 예비선을 이용한 가송전공법 또는 발전기차 등을 이용한 공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활선공법으로서 종래에는 고무장갑을 이용한 공법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감전 사고는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작업 차에 의한 공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고려할 때 작업용 로봇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일본에서는 일부 작업용 로봇차 등을 이용하여 활선작업을 실시한경우도 있다.
□ 저압배전계통에서는 부하설비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화기기는 대부분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주파의 발생원으로 되어 전력의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저압계통에서 전자기기 등의 접지로 인한 누설전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전력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이에 대한 누설전류의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 저자
- E. IGAR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58(8)
- 잡지명
- 신전기(E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1~47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