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기능물질의 분리 및 추출(Separation and Extra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by Using Supercritical Fluids)
- 전문가 제언
-
□ 초임계 유체는 액체에 비해서 점도가 낮고, 기체에 비해서는 밀도가 매우 큰 물질 상태로서 액체와 기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특히 용해도와 혼합도가 액체나 기체에 비해 매우 다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청정기술의 요소기술로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추출공정은 기존의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공정, 중화공정 등에서 사용되는 유해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발생하지 않는 획기적인 추출방식으로 근년 많은 연구와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 지금까지 초임계 유체의 연구는 유기용매의 대체 물질로서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 연구에 집중되었으나 근년에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초미립자 제조나 초임계 상태에서의 반응, 합성, 염색 등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초임계수를 이용한 플라스틱 등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 등 폐기물 및 폐수처리에도 연구가 진행되어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 우리나라의 대학, 연구소, 기업체 등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초임계수 산화법(SCWO : Supercritical Water Oxidation)에 의한 폐기물 및 폐수를 산화 분해하는 기술개발 등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산업에의 응용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화석유화학 중앙연구소가 서강대학교와 한국화학연구소에서 보유한 실험실 단계의 초임계 유체 기술과 SCWO 기술을 공동 연구하여 파일럿 규모의 처리기술을 확립하고 실용화 단계에 있다.
□ 아임계수 또는 초임계수에 의한 반응은 다양한 특징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 폐플라스틱의 분해 및 재자원화에의 적용이 기대되지만, 한편으로는 고온, 고압의 반응이기 때문에 장치의 재질 및 구조, 생성물의 분리 및 정제, 고농도 폐수의 발생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있다.
- 저자
- Motonobu G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77(8)
- 잡지명
- Journal of the society of rubber industry, Japan(C2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2~277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