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순환 계량(Material Flow Accounting)
- 전문가 제언
-
□ 지속가능사회라는 말의 정의, 해석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확립되어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우나, 적어도 지구환경이 파국적인 결말을 맞지 않고, 현재의 생활수준을 유지·발전시켜가려는 의미라고 생각하고 있다. 자연의 균형을 초월한 형태변화와 그의 속도가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그 중에는 종래 자연환경 중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물질 등의 성가신 물건을 자연계에 방출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물질순환사회에서는 역할을 마친 물질·제품을 자연계에 적합한 형태로 환경으로 되돌리고, 혹은 환경에 유해한 것은 가능한 한 인간사회의 관리 하에 두고 사용하는 것이 하나의 방향성이라고 생각한다.
□ 국가, 지역, 산업부문 등을 단위로 하여 물질수지를 정량화하여 환경부하나 자원소비를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서 환경·자원효율을 개선하려는 조사연구를 Material Flow Accounting(MFA)이라 부르며 1990년대 후반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에서도 국립환경연의 Morikuchi 등에 의하여 선구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Kyoto의정서가 발효되면 산업 활동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CO2의 발생까지도 제한하게 된다. 환경에 유해한 물질의 최소방출이나 순환이 어려운 자원의 유효이용 등 인류가 지향해야 할 환경·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은 우리나라도 선진국과 함께 동참하여야할 과제라고 생각하며, 이 방면의 좋은 참고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 저자
- Kazuyo Yokoyama ; Ken-ichi Nakajima ; Tetsuya Nagas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5(9)
- 잡지명
- 화학공업(A0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04~711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