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장치의 입장에서 본 미립자 분산의 기본적인 방법과 최신의 화제(The fundamental view of fine particles distribution from a standpoint of the device and some topics)
- 전문가 제언
-
□ 분산화 기술은 최근에 품질의 고급화와 환경과 조작의 표준화에 기초를 두고 발전하고 있다. 잉크, 도료, 염료, 세라믹, 전자설계, 식품 등 각종공업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분산화를 촉진하고, 안정화를 위한 분산제 등의 첨가제에 관한 내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분산장치에 관한 분산작용은 분산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분산할 대상에 따라 예비분산을 통해서 충분히 검토해야한다. 기계의 수명과 기계장치의 수명, 분산 능력과 입자의 분포도, 등 시중의 기계는 상당히 다양하다. 분산기는 일본보다는 유럽의 스위스나 독일의 장비가 효율 면이나 기계의 관리 면에서 사용이 간편하고 역사가 있다. 우리나라가 기계공업을 육성한다면 이 분야에 대한 투자가 고무적이라고 생각된다. 점진적으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매체 분산기이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분산기이고 특히 분산염료는 대부분 이 분산기를 사용한다. 비-즈의 성분이나 분산기의 형태, 수평, 수직형 등 다양하고 각 성능의 특징이 다르므로 실험실의 간이 밀의 실험에 의해서 각 분산기의 분산성을 실험해서 분석을 해야 한다.
□ 이 보고서에서 한국에서는 일반화 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분산장비는 최신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건식법에서는 환경오염을 줄여서 극대화 할 수 있고 제품 입자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의 분산화는 입자분포가 달라서 최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어려운 점이 많았다. 만약에 이 분산기를 사용한다면 제품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중소업체에서 이 분산기를 개발 한다면 개발의 테마로서 적합 할 것 같다. 국내 기업에서 소규모로 생산되고 있는데 외국 장비에 비해 상당히 수준이 뒤떨어져 있다. 분산기의 개발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질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수출에 일조할 수 있다.
- 저자
- Kazuhiko NISHI ; Meguru KAMINO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77(8)
- 잡지명
- 색재협회지(E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6~374
- 분석자
- 한*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