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의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 반응계의 개발(Innovative Reaction Systems Based on Specific Characteristics of Water)

전문가 제언
□ 유기용제는 비점에 따라 휘발성과 비 휘발성으로 구분되며 비점이 200℃ 이하인 물질이 휘발성으로 분류되고 활성기에 따라 할로겐족과 비 할로겐족 화합 물질로 분류된다. 특히 이들 중 수요가 많고 환경오염에 중요한 유기 염소계 용제는 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그리고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이 있다. 이 물질들은 저렴하고 용해와 세정력이 우수하며 인화성이 없으므로 석유계 용제 대신 반도체나 자동차 또는 섬유 공업의 세정제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 유기용제는 친유성으로 반응성이 낮으며 물리 화학적 특성이 다양하다. 특히 살충제나 세척제는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나 생물체에 축적이 문제가 되고 있다. 흡착이나 거동에 대한 것은 많이 연구되어 있어 환경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으며 자연환경 조건에 따라 휘발성 유기물질의 지속력이 다르다. 유기용제는 유해 화학 물질 관리법에 의해 nitro-benzene 등 약 13종의 유독물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그 특성에 따라 타 법령에 의해서도 동시에 관리되고 있다.

□ 염소계 유기용제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국제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선진 외국에서는 염소계 화합물에 대한 수질기준, 대기기준, 폐기물처리기준 등을 설정하여 그 배출을 규제하고 대체물질 개발 및 재이용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폐유기용제의 대표적 대책인 재이용이나 재사용 방법으로는 증발법, 증류법 및 수증기 탈기(steam stripping)법 등이 있다.

□ 유기합성 반응은 대부분 유기용매 중에서 시행되고 있는데 유기용매는 유해한 화합물이 많고 또한 가연성이 많아 안전에 대한 문제도 많다. 따라서 유기용매 대신 안전하고 독성이 없는 용매가 필요하고 불소화 용매, 이온성 액체, 초임계 이산화탄소 등 새로운 용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물은 무독하고 안전한 용매면서 친환경 용매이다.

□ 본고에서는 환경 조화형 유기합성을 위해 물을 이용한 수중 유기합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물의 특성을 활용하면 유기용매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반응이나 반응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수중 반응이 가능하여도 생성물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유기용매를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다. 사용한 물의 정제나 정화가 쉽지 않기 때문에 수 용매 이용으로 간단히 환경 조화형 유기합성을 달성하였다고 할 수는 없지만 물은 유기용매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반응이나 반응 억제의 실현이 가능하다.
저자
Hiroshi Shinokub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4
권(호)
55(9)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657~662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