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성 식품의 현황과 전망(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n the Functional Foods)

전문가 제언
□ 세계 건강보조식품 시장은 관련법 제정과 생명과학 발전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개발 및 제품화로, 앞으로도 연평균 6.1%의 성장을 지속, 오는 2008년도에는 96억 달러 규모로 부상할 것으로 Freedonia그룹은 전망했다.

□ ISO는 건강기능성 식품 등에 대한 식품안전 위해요소 파악과 위험 분석, 식품안전관리 검증과 타당성 확인 등의 내용을 담은, 「ISO22000 규격」을 2005년 4~5월 제정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2006년경부터 국내 시행이 예상되는 이 규격은 강제조항은 아니지만 일본, 유럽 등에서 강제조항으로 추진하고 있어, 내년 상반기까지는 GMP규격 적합시설 구비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 최근 한국 정부는 보건산업진흥 50대 추진과제를 선정하고, KFDA는 고부가가치 식품의 육성 지원을 위해 기능성 신소재 신제품 개발 지원을 확대하며 이를 위해 건강기능식품의 신제품 상품화 촉진, 기능성원료의 품질표준화 추진, 국가 R&D 성과의 DB구축을 통한 기능성 신소재 발굴 지원을 개선책으로 제시했다.

□ 2004년 9월에는, 2004년 1월 31일 제정된 종래의 「건강기능식품의기준및규격」을 과학화, 현실화로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정제품의 제조기준 신설, 영양보충용 제품의 원료 중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의 구비요건을 개정하고 기준 및 규격을 신설, 미생물 시험법 개정 등을 했다.

□ 건강기능식품은 웰빙 및 인증제품 선호 등의 사회적 추세와 생명공학 등의 기술발달로 자동차·반도체산업과 대등한 고부가가치 미래형산업으로 발전해 갈 것이다. 이에 우리도 전문인력 및 조직체계를 통한 종합적 운영관리, 과학적 평가방법과 운영관리체계 구축 및 국제 경쟁력확보를 위한 종합적인 지원체계 마련 등의 정책적 지원강화 및 가능성·안전성에 대한 검토 강화, 기능성 표시·광고에 대한 사전 과학적 관리, 식품안전관리 업무의 일원화 등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저자
Masatoshi Yazaki ; Mihoko Yam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68(9)
잡지명
화학공학(A021)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64~468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