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매체로한 고분자합성(Polymerization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전문가 제언
□ 탄화수소계 고분자 대부분은 이산화탄소에 용해되지 않지만 비결정 불소계고분자 및 지방족 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용해되는 것이 확인된 이후부터 단량체 및 고분자가 동시에 이산화탄소에 용해 중합하여 고분자 중합체를 용이하게 생성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어 앞으로 다양한 용해중합이 진행될 것으로 본다.

□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분산중합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불포화 폴리아크릴레이트 외에 불소체인을 갖는 단량체, 탄화수소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극성기를 갖는 불소화 폴리에테르 중합체 등이 있으며 이는 모두 이산화탄소에 용해되므로 단량체에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게 되면 분산중합반응 시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중요성이 주목된다.

□ 대부분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인체에 극히 유해한 포스겐을 원료로 하여 생산되므로 이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사용하고 있다. 비스페놀A와 디페닐카보네이트의 에스테르 반응에서 이탈분자로 되는 페놀은 이산화탄소에 용해되며 중합 시 폴리카보네이트는 이산화탄소에 팽윤되어 양호한 효율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일어나게 되므로 대체기술이 확대될 것으로 본다.

□ 이산화탄소는 불연성이면서 인체에 유해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유기용매와 치환하게 되면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탄화수소계고분자 일지라도 골격을 잘 설계하면 고분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용해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 특수한 거동을 나타내는 중합계 반응 프로세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저자
Mitsutoshi Jike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77(8)
잡지명
Journal of the society of rubber industry, Japan(C21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87~292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