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시약으로 사용하는 유기화학 반응(Organic Reactions Utilizing Water as a Reagent)
- 전문가 제언
-
□ 불포화 탄화수소의 부가반응에 사용되는 촉매에 대하여 소위 그린시약을 사용하는 간단한 촉매반응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환경 저부하형 반응을 목표로 본 논문에서는 수화 반응, 가수분해 반응, 또 이와 관련이 있는 반응인 하이드로아미노화 반응에서 M. Tokunaga 등이 달성한 성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 불포화탄화수소의 부가반응은 주로 Markovnikov 법칙에 따라 진행되며 말단에 알킨이 부가된 경우는 케톤만이 생성된다. 알데히드를 얻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하이드로 붕소화-산 방법을 사용하여왔다.
□ 전구체로 [RuCl2(C6H6)PR3]와 phosphine에 전자 흡인성의 치환기를 갖는 PPh2(C6F5)를 사용하면 60~70%의 수율로 알데히드가 얻어지며 이것은 금속착체를 사용한 세계 최초의 반Markovnikov의 수화반응으로 Chemical & Engineering News에 소개되었다.
□ 루테늄 착체 촉매를 이용하여 M. Tokunaga 등은 수화반응, 하이드로아미노화반응, 가수분해반응의 개요를 설명하고 있으나 아직도 루테늄 착체에 대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있음을 보이고 있다. 특히 루테늄 촉매는 탄화수소의 변환이나 유기합성에 없어서는 안 될 촉매로 발전되고 있으나 아직도 기초 연구의 단계로 발전이 늦어지고 있다.
□ 루테늄 착체는 많은 산화상태를 가지고 있어 반응조건의 정밀한 제어, 특히 기질과 배위자의 조합 방법이 극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활성화하여 많은 자료가 축적될 때 유기화합물의 합성에 필요한 루테늄 촉매를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Makoto Tokunag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5(9)
- 잡지명
- 화학공업(A0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97~703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