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성 폴리올을 사용한 폴리우레탄 일래스터머의 합성과 성질
- 전문가 제언
-
□ 이온성 폴리우레탄은 이온성 폴리올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우레탄화한 것이다. 이온성기는 폴리우레탄 합성 시 하드 세그먼트 또는 소프트 세그먼트에 도입할 수 있으며 이온기는 음이온, 양이온, zwitter ion이 있으며, 이들 이온의 종류와 양, 상대 이온의 종류, 이온이 소프트 세그먼트에 존재할 때 하드 세그먼트에 존재할 때의 물리적 특성을 DSC, WAXS, SAXS 및 DMTA를 써서 Tg, Tm, Tan δ, 영 탄성률 및 신율을 측정하여 이들 값에서 이온기간의 클러스터 형성,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의 상용성 및 소재로의 강도를 판단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소프트 세그먼트 이온 전도성을 이용한 이온성 폴리우레탄계 탄성중합체 소재의 개발을 위한 접근 방법을 본 자료는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 방수 도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이다. 보통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폴리올의 이액형의 용제 타입을 사용하는데 세계적인 VOC 규제의 움직임에 의해 선진국에서는 수성 타입으로 옮겨 가고 있다. 수성 타입은 유화 타입과 수분 산성 타입이 있으며, 이온성 폴리우레탄은 수분 산성 타입에 해당한다. 또한 수분 산성 타입도 아크릴 폴리머와 폴리우레탄의 2가지 폴리머를 혼성(hybrid) 분산하여 두 고분자의 장점을 살린 것이 최근 수년간 연구 발표되고 있고 방수 도료에 이용되고 있다. 이 때에 수분 산성을 주는 이온성 기는 막 형성 후에는 방수 성능에 역기능을 하므로 수분의 도막을 통한 침투 확산을 어렵게 하기 위한 이온성 기의 적정한 몰 비율 및 적정한 분자 내 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 저자
- N. HIRAO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8(8)
- 잡지명
- 접착(A04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1~366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