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폴리올레핀 발포체재료와 기술개발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에서도 1970년대 후반기에 도입되기 시작한 PSP는 주로 폴리스티렌을 소재로 화학발포제를 혼합하여 Single 및 Tandem식의 압출기에서 동심원축 다이에 의해 만든 발포시트로 용도가 주로 시트의 열진공성형에 의한 식품포장용(meat tray, lunch box, fruit&vegetable box)이 대부분이었으나 환경측면에서 정부의 1회용 포장용기의 규제로 인해 현재는 그 장래가 대단히 불투명한 입장이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선진국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 최근에 음향차단이나 진동감쇄기능을 요구하는 전자기기의 gasket용 소재로 밀도가 낮고 두께가 얇은 polyolefin계 발포체의 수요가 많아 현재는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하여 충당하고 있으나 머지않아 국내기술에 의한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들은 다른 소재인 우레탄계와도 기능이나 코스트면에서 경쟁이 불가피하리라 예상된다.

□ 발포기술보다는 성형기제작기술이 박육 발포 film 제조의 핵심이나 이 분야에선 주로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유서 깊은 압출기메이커들이 독점하고 있는 실정은 우리가 극복하지 못할 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우리로써는 효율적인 발포기술의 개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압출기는 수입하는 것이 경제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 본 논문은 압출발포기술에서 과거나 현재도 우리보다 앞서 있는 일본의 입장에서 해외에서의 발포 film의 기술개발상황과 유력한 몇 개사의 동향 및 기술개발전망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기업의 입장에서 이러한 기술수요가 있을 때 접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저자
Mamoru Sakagam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50(9)
잡지명
Plastics age(D045)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2~108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